우리 나라는 아직 홀로그램 기술의 실용화도 매우 미비한 수준이지만, 외국에서는 칼 프리브램·데이비드 봄 등 많은 저명한 학자들이 오래 전부터 홀로그램으로 우주를 설명해왔다.
이 책은 바로 그러한 연구를 총집대성한 책으로, 홀로그램 분야의 국내 첫 번역물이다.
이 책을 통해서 정신세계를 탐구하는 구도자들은 신비와 권위의 베일 뒤에 가려 있던 세계를 더욱 과학적으로 접근하여 그 메커니즘을 파헤쳐볼 수 있게 될 것이고, 신비가들은 이異차원적 실재의 오묘한 체험을 속시원히 표현해줄 가장 쉬운 언어를 갖게 되며, 물질세계를 탐구하던 과학자들은 우주라는 빙산의 수면 아래를 탐사하고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해독법을 얻을 것이다.
이 책의 핵심은 우주는 그 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홀로그램, 즉 말 그대로 인간이 지어낸 일종의 이미지, 혹은 구조물일지 모른다는 것이다. 홀로그램의 성질을 적용하면 놀랍게도 수수께끼로 남아 있던 많은 과학 현상을 명쾌하게 설명할 수 있다.
신경생리학의 고전적 교과서인 ≪두뇌의 언어≫의 저자이며 스탠퍼드 대학의 신경생리학자 칼 프리브램( Karl Pribram)은 두뇌의 기억활동, 막대한 정보의 저장 능력, 내부 현상과 외부 현실을구별해내는 능력 등을 홀로그램 모델로 설명한다.
또한 아인슈타인이 총애했던 인물이며 가장 존경받는 양자물리학자인 런던 대학의 물리학자 데이비드 봄(David Bohm)도 양자(quanta) 간의 상호연결성이나 비국소성(non-locality) 등의 현상이 홀로그램 모델로 설명 가능함을 밝혀내었다.
봄과 프리브램을 중심으로 한 홀로그램 모델은 그 후로 심리학, 의학 등 많은 분야로 퍼지는데, 특히 그 동안 현재의 과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는 이유로 인해 허황된 신비현상으로 간주되던 유체이탈, 임사체험 등 많은 현상들을 푸는 열쇠가 된다.
차례
감사의 글
서문
1부 : 실재에 대한 놀랍고 새로운 관점
1. 홀로그램 두뇌
2. 홀로그램 우주
2부 : 마음과 신체
3. 홀로그램 모델과 심리학
4. 홀로그램 신체의 노래
5. 호주머니 가득한 기적
6. 홀로그램적 투시안
3부 : 시간과 공간
7. 마음 밖의 시간
8. 슈퍼홀로그램 속의 여행
9. 꿈의 시대로의 귀환
역자 후기
주
찾아보기
지은이 마이클 텔보트
1953년 미시간 주 그랜드 래피즈에서 태어났으며 현재 뉴욕에 살고 있다. 그는 『신비주의와 새로운 물리학Mysticism and the New Physics』 『양자를 넘어서Beyond the Quantum』, 『당신의 전생: 환생 핸드북Your Past Lives: A Peincarnation Hanbook』 외 소설 3권을 썼다.
옮긴이 이균형
1958년생. 연세대 공대를 졸업하고 컴퓨터 시스템 엔지니어로 일하다가 정신세계에 입문, 현재는 의식공학적 자아 탐사기법을 전수하는 프로그램인 아봐타 코스를 아내와 함께 안내하면서 경주 근교에서 살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인도 명상 기행><스트로볼로스의 마법사><이집트의 신비><사람은 늙지 않는다><직관의 테크닉><홀로그램 우주><뜻대로 살기> 등
우리 나라는 아직 홀로그램 기술의 실용화도 매우 미비한 수준이지만, 외국에서는 칼 프리브램·데이비드 봄 등 많은 저명한 학자들이 오래 전부터 홀로그램으로 우주를 설명해왔다.
이 책은 바로 그러한 연구를 총집대성한 책으로, 홀로그램 분야의 국내 첫 번역물이다.
이 책을 통해서 정신세계를 탐구하는 구도자들은 신비와 권위의 베일 뒤에 가려 있던 세계를 더욱 과학적으로 접근하여 그 메커니즘을 파헤쳐볼 수 있게 될 것이고, 신비가들은 이異차원적 실재의 오묘한 체험을 속시원히 표현해줄 가장 쉬운 언어를 갖게 되며, 물질세계를 탐구하던 과학자들은 우주라는 빙산의 수면 아래를 탐사하고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해독법을 얻을 것이다.
이 책의 핵심은 우주는 그 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홀로그램, 즉 말 그대로 인간이 지어낸 일종의 이미지, 혹은 구조물일지 모른다는 것이다. 홀로그램의 성질을 적용하면 놀랍게도 수수께끼로 남아 있던 많은 과학 현상을 명쾌하게 설명할 수 있다.
신경생리학의 고전적 교과서인 ≪두뇌의 언어≫의 저자이며 스탠퍼드 대학의 신경생리학자 칼 프리브램( Karl Pribram)은 두뇌의 기억활동, 막대한 정보의 저장 능력, 내부 현상과 외부 현실을구별해내는 능력 등을 홀로그램 모델로 설명한다.
또한 아인슈타인이 총애했던 인물이며 가장 존경받는 양자물리학자인 런던 대학의 물리학자 데이비드 봄(David Bohm)도 양자(quanta) 간의 상호연결성이나 비국소성(non-locality) 등의 현상이 홀로그램 모델로 설명 가능함을 밝혀내었다.
봄과 프리브램을 중심으로 한 홀로그램 모델은 그 후로 심리학, 의학 등 많은 분야로 퍼지는데, 특히 그 동안 현재의 과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는 이유로 인해 허황된 신비현상으로 간주되던 유체이탈, 임사체험 등 많은 현상들을 푸는 열쇠가 된다.
차례
감사의 글
서문
1부 : 실재에 대한 놀랍고 새로운 관점
1. 홀로그램 두뇌
2. 홀로그램 우주
2부 : 마음과 신체
3. 홀로그램 모델과 심리학
4. 홀로그램 신체의 노래
5. 호주머니 가득한 기적
6. 홀로그램적 투시안
3부 : 시간과 공간
7. 마음 밖의 시간
8. 슈퍼홀로그램 속의 여행
9. 꿈의 시대로의 귀환
역자 후기
주
찾아보기
지은이 마이클 텔보트
1953년 미시간 주 그랜드 래피즈에서 태어났으며 현재 뉴욕에 살고 있다. 그는 『신비주의와 새로운 물리학Mysticism and the New Physics』 『양자를 넘어서Beyond the Quantum』, 『당신의 전생: 환생 핸드북Your Past Lives: A Peincarnation Hanbook』 외 소설 3권을 썼다.
옮긴이 이균형
1958년생. 연세대 공대를 졸업하고 컴퓨터 시스템 엔지니어로 일하다가 정신세계에 입문, 현재는 의식공학적 자아 탐사기법을 전수하는 프로그램인 아봐타 코스를 아내와 함께 안내하면서 경주 근교에서 살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인도 명상 기행><스트로볼로스의 마법사><이집트의 신비><사람은 늙지 않는다><직관의 테크닉><홀로그램 우주><뜻대로 살기> 등